2025년 10회차 빅데이터분석기사 공부 방법, 합격 후기

들어가며

간단한 자기소개와 응시 동기

우선 저의 배경과 취득 목표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 데이터 분석 전공이나 직무 아님
  • 시스템 개발/운영 담당자, 코딩은 할 줄 알지만 파이썬 잘 모름
  • 첫 시험 응시, 직장 다니며 퇴근 후 준비
  • AI 기술의 기반이 되는 빅데이터를 이해하고 싶었음
  • 향후 승진, 전환 배치, 이직 등 커리어를 유연하게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함

응시한 시험 일정

2025년 상반기 취득을 목표로, 10회차 시험을 준비했습니다.
필기와 실기 모두 아슬아슬했지만 결과적으로는 합격✨했습니다.
일정과 공지는 데이터자격검정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필기 접수: 03/04 ~ 03/10
  • 필기 시험일: 04/05
  • 필기 사전점수 발표: 04/18 (16:00)
  • 실기 접수: 05/19 ~ 05/23
  • 실기 시험일: 06/21
  • 실기 사전점수 발표: 07/04 (16:00)

접수부터 시험, 필기 사전점수 발표부터 실기 시험까지 기간이 긴 편입니다.
비전공자에 퇴근 후, 주말에 준비했지만 시간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시험은 임박했을 때 집중이 제일 잘 되더라고요,,😅)

시험 정보

구분 필기시험 실기시험
과목 4과목 (기획, 탐색, 모델링, 결과 해석) 3유형 (전처리, 모델링, 통계 검정)
문항 수 총 80문항 (과목 당 20문제, 4지선다형 객관식) 총 6문제 (작업형 + 필답형)
시험 시간 120분(시험 후 60분 경과 시 퇴실 가능) 180분(시험 후 90분 경과 시 퇴실 가능)
합격 조건 과목별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총점 60점 이상
언어   Python 또는 R 중 선택

실기 시험에 대해 조금 더 보충하자면,

유형 문제(점수) 배분 특징
제1유형 (전처리) 3문제, 각 10점 (총 30점) - 각 문제별로 세부 문항 있을 수 있음
- 필답형: 문제에 대한 답 제출 (주로 소수점 세 자리)
제2유형 (모델링) 1문제, 40점 - 분류, 회귀 모형 모델링
- 작업형: csv 파일을 저장하는 소스가 포함된 작업 소스
제3유형 (통계 검정) 2문제, 각 15점 (총 30점) - 다중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
- 각 문제별로 세부 문항 있을 수 있음
- 필답형: 문제에 대한 답 제출 (주로 소수점 세 자리)

필기시험

공부 방법

감을 잡기 위해 여러 글을 탐색했는데요, 데이터 전문가 포럼 카페에 가장 생생한 후기가 많더라고요.
이런 저런 정보를 탐색하고 싶다면 위 카페 추천 드려요.
시험 본 직후에 똑똑하고 부지런한 분들이 문제도 복기해주십니다👍

일단 제가 선택한 책은 영진닷컴의 ‘이기적’ 시리즈입니다.

  • 도서 추천을 많이 찾아 봤지만 어느 한 책이 압도적으로 좋다고 의견이 모아지지 않았습니다.
  • 그나마 이기적, 수제비를 많이 추천하는데, 구매 시점에 수제비는 2025년 버전이 없어 그냥 이기적으로 구매했습니다.
  • 개인적으로 필기 책은 가장 최근 기출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면 아무거나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평소에는 소단원 별로 쪼개서 아래 과정을 반복했습니다.

  • 유튜브 채널 IT의 답을 터득하다, 아답터에서 필기 요약 강의 듣기
  • 강의 들으며 중요하다는 개념 책에 표시
  • 책 처음부터 보며 중요하다는 개념 위주로 1회독
  • 책 예상문제 풀이
  • 예상문제 오답 정리하며 2회독

시험에 닥쳐서 2주 정도는 기출 문제를 최대한 풀어봤습니다.
그리고 어려웠던 2-3과목 위주로 3회독 정도 한 것 같아요.

❇️ 소소한 팁들
배경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책을 처음부터 공부하려면 막막해지더라고요.
그럴 때 유튜브 강의로 핵심 개념을 짚고 책을 보면 도움이 됩니다.
헷갈리는 내용은 역시 GPT 활용하는 게 최고예요,, 알기 쉽게 설명해달라 무한 반복하고, 헷갈리는 두 개념의 차이를 비교해달라 하면 이해하기 좋았어요.
2-4과목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 내용이 많아서, 2과목만 잘 공부해둬도 이후는 좀 괜찮을 수 있습니다.
시각화 문제는 꼭 다 맞는다 생각하고 헷갈리더라도 꼼꼼히 확인해두기를 추천합니다.

결과와 후기

필기시험은 전형적인 시험처럼 OMR 카드에 답을 표기해서 제출합니다.
대부분 한 시간 반 정도 지나면 퇴실하십니다.

필기시험합격점수

공부할 때도 그랬고 2, 3과목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기출에서 자주 봤던 개념들이 나오긴 했으나 쉽지는 않았는데,,
사람들 후기로는 시험이 아주 무난했다고 하더라고요..?🥹
아, 그래도 계산하는 문제는 거의 없었습니다.
여튼 나오자마자 데이터 전문가 포럼 카페에서 시험 후기를 폭풍 검색해봤던 기억이 나네요.
복기 답안이 대부분 맞겠지만 100% 신뢰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필자는 복기 답안 상 3과목 과락을 예상했으나 까놓고 보니 2과목이 아슬아슬했어요😌

실기시험

공부 방법

파이썬과 R 중에서는 그나마 파이썬은 좀 써봤기에 파이썬을 택했습니다. (공부 자료도 파이썬이 더 많을 거예요.)
실기는 교재를 따로 사지는 않았고 여러 가지 자료를 활용해서 공부했습니다.
공부 자체는 교재 없이 충분하지만, 양질의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다면 교재를 구매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작업유형 1, 2에 집중해서 두 과목을 만점 받기를 추천합니다.
실기는 과락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만 해도 70점이 나와서 합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업유형 2는 거의 정해진 템플릿 그대로 하면 된다 해서 작업유형 2를 제일 열심히 연습했습니다. (그러나…)
작업유형 1은 캐글이나 유데미 강의에서 연습 문제를 위주로 풀었고,
작업유형 3은 어렵게만 느껴져서 마지막까지 미루다가.. 그래도 할 수 있는 만큼 준비해서 갔습니다.

❇️ 소소한 팁들
기출문제는 꼭 보고 가세요! 특히 작업유형 2와 3은 기출과 많이 유사합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체험환경: 데이터자격검정에서 제공하는 실제 시험 환경입니다.
10회 실기 대비 체험 문제 풀이 영상: 체험 문제는 꼭 풀어보고, 풀이 영상도 하나 쯤은 보고 가면 좋습니다.
작업유형 2를 보다 보면 그래서 내 예측이 괜찮은 건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metrics에서 제공하는 여러 함수로 점수를 평가하는 법을 GPT에게 물어봐서 알아 가면 좋아요. (저는 이걸 안 하고 가서 점수가..)

결과와 후기

체감상 실기 시험은 필기 보다 시험 접수가 빠르게 마감됐습니다.
원하는 장소가 있다면 접수 시간에 맞추어 재빠르게 접수하시기를 추천 드려요.
시험 당일 특이했던 점은, 입실 시간에 딱 맞게 문을 열어 줍니다.
아무래도 필기와 달리 컴퓨터를 조작하다 보니, 감독관이 관리 감독을 철저하게 해야 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 점수는요…

실기시험합격점수

당당하게 턱걸이 합격…!!!!!
시험 보고 나오면서 가장 걱정됐던 건 ‘작업유형 2에서 생각지도 못한 실수로 미끄러지면 어떡하지?’ 였는데,
아니나 다를까… 점수가 딱 20점이 떴습니다…👻
이번 작업유형 2는 결측치 처리나 불필요한 컬럼 삭제 등 전처리가 까다롭지 않았고,
후기를 봐도 대부분 작업유형 2는 점수를 후하게 줬다는 말이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난하게 풀었다고 생각했는데 20점이라니,,, 점수 보고 꽤 놀랐습니다ㅋㅋ
(참고로 저와 같은 소스로 공부한 동료는 만점 받았습니다. 소스 문제는 아니었던 걸로!😉)

기억에 남는 건… 작업유형 1 마지막 문제였는데,
판다스 apply() 함수를 알면 금방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저는 그 함수를 몰라서 for문 돌려 가며 끝까지 삽질하다가
마감 3분 전에 겨우 답을 구해 제출했어요.
이 문제 아니었으면 바로 나락이었을 겁니다..
사람들이 2시간 지나면 많이 나가는데,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 흔들리지 말고 끝까지 물고 뜯고 나오세요!🥲

그리고 작업유형 3도 어려워서 공부를 덜 할까 고민했었는데,
마지막에 기출문제 위주로라도 보고 간 게 신의 한 수였습니다.
작업유형 3이 어려워 보여도, 기출에 자주 나오는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은 꼭! 보고 가세요.
그리고 새로운 데이터셋으로 예측하는 것까지 실습해보는 걸 추천합니다!
아, 그리고 답에 종종 음수(-)인 값도 나오기도 해요. 그냥 -도 붙여서 내면 됩니다.


지금까지 저의 빅데이터분석기사 10회 시험 후기였습니다.
다들 쉬웠다지만 저에게는 쉽지 않았던😂 끝까지 포기하지 말자는 교훈을 강하게 남긴 시험이었습니다.
그리고 공부해보니 빅데이터 분석에 대해 조금이나마 감을 잡을 수 있었어요. 무엇이든 쓸모 없는 공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